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외부 주도 모형에서 정책의 제 형성은 이슈들이 먼저 비정부 집단에서 일어나 확장되어 공중의제가 되고, 다음에는 제도적인 정책의제가 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동원 모형에서는 정책결정가들이 이슈들을 정책의제로부터 공중의제로 확장시키려고 노력한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정책 문제의 성격 차원에서는 문제 해결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가 중요한데, 어떤 문제들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그 문제 해결에 대한 요구들이 일반 대중들로부터 주도될 수 있고, 어떤 문제들은 특정한 집단에서만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경우에는 그 집단이 정부와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가지 고 있느냐에 따라 내부에서 정책의 제 형성이 주도될 수도 있다.
외부 주도 모형에서 정책의 제 형성은 이슈들이 먼저 비정부 집단에서 일어나 확장되어 공중의제가 되고, 다음에는 제도적인 정책의제가 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그들은 정책의 대중 확산이나 정책 경쟁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데, 이는 본 모형이 집단이나 정부가 불만을 천명하고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방안을 구체화할 때, 정책의제의 주도와 구체화가 동시에 일어난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hwp/pdf]May의 정책의제형성모형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