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1970년대 미국 사회복지의 발달
1970년대 후반 이후로는, 이러한 사회환경적 요인과 사회사업 전문직의 상황들로 말미암아, 이전과는 다른 사회복지 행정에 대한 실질적인 관심이 나타나게 되었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1970년대 들어서는 중대한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에 대한 공공의 관심 증대로 말미암아, 이들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이 강하게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사회복지 조직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1970-1980년대 사이에 민간이나 정부기관의 사회사업 행정가들을 공공행정이나 기업행정의 배경을 가진 관리자들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관심이 등장하게 된다.
즉 일반행정직들이 사회사업 행정가들을 대치하게 되는 현상은 사회사업 전문직이 오랫동안 행정을 등한시한 결과이며.이것은 사회사업 전문직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등장하였던 것이다.
이 시기에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사유화'의 시도가 본격화되었는데, '사유화'(Privatization)란 공무원의 수를 늘리지 않으면서 서비스의 다양성과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세금 자원으로 공공조직을 운연하지 않고 대신에 프로그램 보조금(grants)이 나 서비스 구입(Purchas e-of-service) 등의 방법으로 민간부문의 서비스 역량을 활용하려는 것이다.
많은 민간기관들이 보조금과 서비스 구입 계약으로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게 되었고 다양한 래정 자원을 찾아 나설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러한 민간기관들에서는 행정적 전문지식을 갖출 관리자들의 능력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에 사회복지기관들의 관리를 사회사업가들이 일정 부문 전담해왔음을 감안하면, 사회사업 교육에서 행정적 지식을 다루어야 할 당위성은 실질적으로 높았다.
사회복지행정 실무 : 이세형저, 양성원, 2017

[hwp/pdf]1970년대 미국 사회복지의 발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