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복지조사론]내용 분석의 코딩
우선 연구자는 어떤 명시적 내용과 함축적 내용을 변수의 속성들로 삼을 것인지 결정하고 다음 조작 적정의들을 명확히 하여 코딩을 해보고 결과들에 대한 신뢰도를 점검해야 한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즉 명시적 내용과 함축적 내용의 코딩이 관찰단위의 특성을 동일하게 나타내어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은 측정의 결과가 불완전하지만 상당히 가깝다면 두 방법에서 배정된 점수를 최종 점수로 반영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의 코딩 결과가 큰 차이를 나타낸다면 연구자는 이론적 개념화나 조작화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내용 분석은 여러 수준의 측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어떤 문헌의 성향을 규정하면서 진보와 보수라는 명목 변수를 사용할 수 있고, 중도를 중심으로 정교화된 서열 척도나 등 간척도를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연구자는 어떤 명시적 내용과 함축적 내용을 변수의 속성들로 삼을 것인지 결정하고 다음 조작 적정의들을 명확히 하여 코딩을 해보고 결과들에 대한 신뢰도를 점검해야 한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hwp/pdf][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코딩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