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복지정책] 평등주의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또한 사람들이 자신의 장래에 관한 정치적 의사결정 참여가 자유롭고 모든 사람이 똑같이 귀중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마셜(1963:107)은 "사회서비스의 확장은 소득의 평균화 수단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문명생활에서의 재산(substance)의 총체적인 제고, 위험과 불안의 총체적 감축, 온갖 불우한 사람들과 우월한 사람 간의 평균화, 지위의 평등은 소득의 평등보다 중요하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천성이나 양육의 결과로 모든 인간은 재능, 능력, 기질, 동기에서 사람마다의 독특한 조합을 가지고 있는데, 절대적 또는 근사평등을 이루려는 정책은 이러한 개인 차이를 무시하고 혁신적이고 지식이 높은 또는 정직한 사람뿐만 아니라 나태한 사람, 무능력자, 부정직한 사람에게도 보상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근사평등성이 불가능한 꿈이라는 데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평등원리가 함께 폐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hwp/pdf][사회복지정책] 평등주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