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
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강투자 전략의 이해 - 강의자료
건강투자 전략의 이해
목차
건강투자의 이론
Ⅰ
현여건과 미래전망
Ⅱ
건강투자의 방향
Ⅲ
건강투자전략 개요
Ⅳ
2007 건강투자전략 소개
Ⅴ
건강투자전략의 미래 Agenda
추진 또는 검토과제
ⅦⅥ
건강투자는 사회투자, 미래투자와 함께
국가투자의 기본
개인의 건강 사회의 건강 국가의 건강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
건강결정요인
개인행태
사회경제적 환경
보건의료체계
건강투자의 이론
Ⅰ
Marc Lalonde 보고서(74. 캐나다)
* 사망률의 획기적 감소를 위해서는
- 의료시스템을 발전시키기보다는
- 환경의 변화와 나쁜 생활행태를 줄이는 것이 더 중요
미국 CDC의 사망 영향요인 분석 (1989)
- 생활행태 51%, 환경 20%, 유전 19% 의료시스템 10%
미국 위스콘신 건강결정요인 분석 (2004)
- 건강행태 40%, 사회경제요인 40% 의료시스템 10% 환경 10%
건강수준은 의료시스템보다 건강행태에 보다 좌우
건강투자의 이론
Ⅰ
건강은 경제성장과 선순환(EU 보고서, 2005)
* 국민이 건강하지 않다면,
- 지식습득 능력 저하 및 교육효과 약화
- 노동일수의 저하와 빠른 은퇴
- 임금소득의 감소
- 저축 감소
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경제 성장의 가능성은 높음
(Jeffrey D. sachs, 2000)
건강 수준의 향상 -] GDP 향상
- 기대수명 1년 연장시 GDP 4% 상승(Bloom, 2001)
국가 발전에 대한 건강의 중요성은 이미 보편화된 사실
건강투자의 이론
Ⅰ
....
[ppt/pdf]건강투자 전략의 이해 - 강의자료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