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사정단계에 대한 레포트 자료.

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사정단계

사정의 내용은 문제의 성격, 클라이언트의 한계, 잠재능력 및 문제와 관련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가족, 친구, 이웃, 지역사회 체계 등이 포함되며, 이에 대한 총체적인 충분한 사정이 이루어져야만 클라이언트로부터 결정에 대한 합의를 얻어낼 수 있다. 사정은 욕구와 문제의 발견,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의 발견, 문제형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욕구와 문제의 발견

사정의 초기 작업은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이는 클라이언트와의 최초의 접촉에서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문제가 현재 클라이언트가 가장 절실하게 생각하는 문제이므로, 사회복지사는 제시된 문제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무엇인지를 연구하여 클라이언트의 잠정적인 주요문제를 발견해야 한다.
존슨(Johnson, 1989)은 문제를 발견하는 단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해결되지 않은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클라이언트의 내부와 환경에서 찾아보는 것이다.
셋째, 문제해결계획이나 개입방향이 드러나도록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다.
컬스트 애수먼과 흘(Kirst-Ashman & Hull, 1993)은 클라이언트에게 일어나는 가장 빈번한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2/ 사회적 관계의 불만족
3/ 공식적 조직과의 문제
4/ 역할 수행상의 문제
5/ 사회적 전환에서 파생되는 문제
6/ 심리행동상의 문제
7/ 자원의 부재나 결핍의 문제
8/ 의사결정의 어려움
9/ 다민족사회에서 발생하는 인종 간의 상이한 문화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

2. 정보의 발견

...(이하 내용 생략)

[hwp/pdf]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사정단계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