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및 과정적 구성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및 과정적 구성

1.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Hasenfeld(1980)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을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현재의 지위에서 새롭게 처방된 지위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 문화적 특징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도화된 일련의 절차'로 정의한다. 그의 정의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문제상태에서 문제가 치유된 상태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강조한다. 또한 그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제도화된 절차임을 기술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사물이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임의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회에 의해서 그리고 조직에 의해서 재가를 받고 합법화되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는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을 사람으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사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존재하면서 기술을 적용하는 조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나타낸다.
Hasenfeld(1980)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보통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인간-처리기술, 인간-유지기술, 인간-변화기술과 같은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첫째, 인간-처리기술은 인간의 문제 혹은 욕구 등의 지위를 판단하는 기술로서 분류하고 배치하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둘째, 인간-유지기술은 인간의 안정화를 가져 오기 위한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이 기술은 문제상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그들의 존엄성과 가능성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셋째, 인간-변화기술은 인간의 문제상태에 대한 개입을 통해 지위의 부분적 변화 혹은 완전한 변화를 가져 오기 위한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이 기술은 의도되고 계획된 바람직한 변화를 만드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인간-처리기술은 사람들의 문제상태에 대해서 정확한 판단과 적절한 대응과 처리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술이고, 인간-유지기술은 장애인이나 노인 등과 같은 실제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는 일부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잠재력은 보존하면서 이들의 삶을 안정된 상태로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술이다. 한편 인간-변화기술은 사람들의 상태를 보다 바람직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회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인간이 지닌 지식과 기법들을 적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가져 오기 위한 기술이다.
이들 기술 모두는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조직의 존재이유를 보이고 사회복지조직의 기능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hwp/pdf]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및 과정적 구성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