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기능적 갈등주의

기능적 갈등주의

한편 기능적 갈등주의는 지멜(Simmel)과 코저(Coser)에 의해 주장되었다. 기능적 갈등주의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갈등이 사회를 유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지님으로써 기능주의 이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마르크스는 사회체제의 변혁에 갈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지멜은 사회의 변동보다는 사회의 지속에 갈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는 사회의 유지에 갈등이 기여하는 긍정적인 결과들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그에 의하면 갈등은 사회를 유지하는 하나의 기능으로써 파악되었다.
코저는 지멜의 논의에 기초하여 기능적 갈등주의를 더욱 발전시켰다. 코저는 갈등이 사회체계의 통합과 적응성을 어떻게 재정립하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그는 사회의 구성부분은 불균형을 일으키며, 이러한 불균형은 다양한 형태의 갈등을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사회 전체의 일시적인 재통합을 초래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의 융통성과 적응력이 강화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능적 갈등주의는 갈등이 사회체계를 유지하고 융통성과 적응력을 강화시키는 순기능(順機能)을 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사회와 갈등에 대한 코저의 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는 다양한 부분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2/ 사회의 구성부분은 불균형과 갈등을 드러낸다.
3/ 사회체계의 구성부분 사이에 혹은 부분 내에서의 갈등은 사회체계의 일시적인 통합과 적응력을 변동시킨다.
4/ 사회체계에 일어나는 갈등은 특정한 조건에서는 사회체계의 융통성과 적응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체계가 균형을 추구하며, 사회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균형으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대목에서 기능적 갈등주의는 기능주의 이론에 비해 보다 구체적이다. 먼저 기능적 갈등주의는 갈등이 존재함을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이 특정한 조건에서 사회체계의 통합성과 적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갈등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코저는 갈등의 원인과 갈등의 폭
...

[hwp/pdf]기능적 갈등주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