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청소년의 가정폭력

청소년의 가정폭력

한 조사에 의하면, 집에서 부모에게 물건을 던지는 등 폭력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대답한 청소년은 1.7%에 불과했으나, 가족에 대한 폭력을 휘두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고 대답한 청소년은 43%에 달한다. 즉 이 보고에 의하면 현대 청소년의 약 40% 이상이 부모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 물론 가족에 대한 청소년의 폭력욕구와 실제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구별해야 하지만, 이 조사를 통해 현대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잠재적 폭력욕구가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960년대를 전후해 반전운동이나 학생운동의 형태로 기성체제에 대한 청소년의 반항 내지 폭력행위가 전 세계적으로 두드러졌다. 같은 시기, 여러 연구에서 가족의 역할 변화, 가정에 대한 의미 변화 등이 지적되었다. 사회와 가족의 변화가 맞물려 청소년의 가족 내의 폭력을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 20-30년 사이에 청소년들이 보이는 황폐한 모습은 서구 사회와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청소년들이 상담기관을 찾는 경우는 서구사회와는 달리 극히 드물다. 이들은 자신의 내면 갈등을 폭력이라는 공격성으로 표출해 버렸기 때문에 스스로 심한 고통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전개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담자는 가정 내에서 폭력적인 청소년 대부분이 가정 밖에서는 모범적 생활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웃이나 교사 등의 눈에는 심각성이 드러나지 않은 채 문제를 키워간다는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

1. 가정폭력 청소년의 특징

어떤 임상기관의 자료에 의하며, 청소년이 가정에서 처음 폭력을 휘두르는 경우는 13-17세에 많이 일어란다. 이들의 형제 순위는 외동아이, 장남, 막내로 과도한 책임을 부여받거나 과보호되기 쉬운 환경의 청소년이 이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이들은 지적능력도 높아서 아동기까지는 부모의 기대대로 좋은 아이로 성장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가정에서 폭력을 휘두르지만 가정 밖에서는 이전처럼 좋은 아이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한다. 가족 이외의 사람들은 이들이 정직하며 모범생이지만, 자주성이 약하며 용기가 없는 것 같다는 평을 한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이들은 폭력적 행위를 하지만 도벽, 약물남용, 범죄행위 등을 동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들의 폭력 대상은 주로 가정 안에서 어머니처럼 약한 입장에 있는 사람들로, 이들을 때리거나 흥기로 위협한다. 그러나 폭력의 정도, 한계, 장소 등을 선택하여 폭력을 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들은 가족 이외의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는
...

[hwp/pdf]청소년의 가정폭력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