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가정폭력 청소년의 특징

가정폭력 청소년의 특징

어떤 임상기관의 자료에 의하며, 청소년이 가정에서 처음 폭력을 휘두르는 경우는 13-17세에 많이 일어란다. 이들의 형제 순위는 외동아이, 장남, 막내로 과도한 책임을 부여받거나 과보호되기 쉬운 환경의 청소년이 이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이들은 지적능력도 높아서 아동기까지는 부모의 기대대로 좋은 아이로 성장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가정에서 폭력을 휘두르지만 가정 밖에서는 이전처럼 좋은 아이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한다. 가족 이외의 사람들은 이들이 정직하며 모범생이지만, 자주성이 약하며 용기가 없는 것 같다는 평을 한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이들은 폭력적 행위를 하지만 도벽, 약물남용, 범죄행위 등을 동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들의 폭력 대상은 주로 가정 안에서 어머니처럼 약한 입장에 있는 사람들로, 이들을 때리거나 흥기로 위협한다. 그러나 폭력의 정도, 한계, 장소 등을 선택하여 폭력을 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들은 가족 이외의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즉 가정 안에서 폭력의 대상을 선택하여 기물을 던지거나 고통을 주는 행위를 한다. 한 예로 집 안의 아무 데나 침을 뱉고 방 안에 물이나 오물을 뿌리거나 옷에 잉크를 쓸는 등 어른들이 설어하는 행동만 하는 청소년도 있었다. 또한 등교할 때마다 차로 데려다 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비싼 물건을 사달라고 조르기도 한다. 주로 폭력의 대상이 되는 어머니에게 심한 폭력을 가한 후, 어머니에게 어리광을 부리는 등 강한 의존성을 보이는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다.
한편, 아버지는 마음이 약하며, 우유부단하고 자녀에 대해 방관자인 경우가 많으며 사회활동으로 가정에 거의 없다. 많은 가정폭력 청소년들이 자신의 아버지를 지나치게 부드럽거나 엄격하다는 두 가지 이미지를 가진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청소년기에 이르면 지금까지 양육을 담당한 어머니를 대신해 아버지가 훈육의 전면에 등장한다. 이것은 자녀가 청소년이 되면서 아버지의 당당한 모습에 뭔가를 배우거나 때로는 아버지와 대립하기도 하며 그것을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삶의 방식, 인생의 가치관, 인내의 의미 등을 몸에 익혀 간다. 만약 이 시기에 아버지가 본래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 채 가족 내에서 겉돈다면 아버지를 통해 삶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자녀에게는 불행한 일이다. 현대사회의 가정에서 아버지가 희미한 존재로 전락한 것은 사회생활로 여유 없는 아버지 개인의 문제, 모자관계의 밀차, 조부모의 개입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어떤 이유이건 가정 내에서 상실된 부권을 회복하는 것이 가정폭력 청소년 출현의 예방에 필요한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가정에서 폭력을 행사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지기 싫어하
...

[hwp/pdf]가정폭력 청소년의 특징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