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조작적 대인치료] 부부불화, 부부문제의 치료기법

[조작적 대인치료] 부부불화, 부부문제의 치료기법

가족치료에 관한 제 이론을 고찰해 보면, 행동주의자들이 현대의 가족치료에 직 ․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엄격한 의미에서는 행동주의자가 아니면서도 Haley와 Minuchin 등은 '환경을 조작하고 특정의 부적응적 증상을 변화시키려고 시도한 것'은 대표적 예이다.
그러나 가장 직접적으로 행동주의적인 접근을 한 것은 Stuart이다. 특히 그는 부부불화의 치료에 대한 광범한 자료의 제시와 함께, '부부불화에 대한 8단계의 치료과정모형'을 발전시킨 것은 주목된다. Stuart에 의한 치료과정은 행동주의적 접근으로서 그가 전제한 것은 결혼생활의 모든 국면이 유동(流動)한다는 것이다. 그 내용은 첫째, 결혼생활에 있어 누가, 어떤 종류의 새로운 자극을 어떤 방법으로 제공했는가? 에서부터
둘째, 세월이 흐름에 따라 가정에서의 과거, 현재의 역할과 책임이 어떻게 배분되고 재배분되었는가에 이르기까지 변화된다는 것이다.
셋째, 결혼생활에 대한 각 배우자의 충실성도 세월이 흐르면서 변화된다고 했다.
이 같은 변화가 당연함에도 부부 중에 적어도 한 사람이 결혼생활의 유지에 대해 회의와 불만을 느끼기 때문에 심리치료 또는 가족치료를 받으러 온다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불화로 상담 ․ 치료를 청하러 오는 내담자에게 치료자가 할 수 있는 것은, 양 배우자를 도와서 현 시점에서 가능한 한 '최상의 관계'를 맺게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최상의 관계로도 그들이 기대한 만큼 그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면, 결혼생활의 지속 여부는 그들이 결정할 문제라는 것이 Stuart의 주장이다.
이제, Suart가 주장하는 조작적 대인치료기법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부불화 문제를 치료할 경우, Stuart는 세 가지를 지킨다는 점이다.
하나는 배우자 중 어느 한 사람과 공모(예컨대, 비밀을 지키기로 한 것)하지 않겠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부부가 치료과정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정해진 기간 내에 변화가 일어나기를 바란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는 점이다. 이는 가족상담 치료자의 역할과 책임감의 한계를 스스로 설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2/ 가족치료에서 체계적 ․ 조직적인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부부불화에 대한 행동주의적 치료과정 모델에 잘 나타나 있지만 단계별 활동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 배우자 각자에게 분부상담 전 검사목록표(Marital
...

[hwp/pdf][조작적 대인치료] 부부불화, 부부문제의 치료기법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