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미국과 한국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를 2 페이지의 표로 보기 쉽게 요약하였습니다.

1. 미국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4단계 표)
2. 한국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4단계 표)

1. 미국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
patti (1883:1-23)가 제시한 대로 4단계로 나누어보고자 한다


1단계
명목상의 인정단계
1900-1935
*사회복지 행정에 대한 최초 관심
*사회사업교과과정에 최초로 행정 등장
*Abott:1927년 사회사업가들에게는 공공복지 행정을 포함하는 교과과정이 필요함을 언급
*Dunham: 사회복지 행정을 실천의 보조적 방법으로 인식
*James Hagerty: 교과과정 속에 행정에 관한 내용을 포함 시켜야 한다고 주장
*Minford회의 (1929) : 사회사업 기본기술및 행정을 포함한 교과과정 제안
*미국 사회사업 대학 협의회의 채택교과과정에 행정이 선택과목으로 포함(1923)
2단계
사실상의 인정단계
1935-1960
*연방긴급 구호청 (1934) 설립 : 대공황 극복위한 실업문제 해결시도
*사회보장법 제정 (1935) : 연방 , 주 공적 부조제도 창설-> 행정 발전의 기초 형성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과 기초의정립->행정을 독립적인영역으로확립
3단계
정체의 단계
1960-1970
*사회사업가 협회에서 행정관련 이론연 구및 행정 발달에 대한 건의안 발표
*사회복지 협의회에서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요소를 다룬 논문발표
*사회사업교육 협의회(1961) : 사회복지행정 교육을 강화하는 교과과정 인정 *NASW산하 사회사업행정 위원회(1963년) 창설
*사회복지 기관에 대한 불신 지역사회 조직사업의 발달-> 행정발달의 정체
(이하생략)

[hwp/pdf]미국과 한국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