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집단수준의 실천기술 - 중간단계


1. 집단유지
2. 의사소통 특성
3. 특수한 문제
4. 갈등처리
5. 권한부여
6. 의도하지 않은 결과

1. 집단유지
2. 의사소통 특성
3. 특수한 문제
4. 갈등처리
5. 권한부여
6. 의도하지 않은 결과

2. 의사소통 특성

치료자는 집단성원의 언어와 말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그들의 감정, 생각, 태도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치료자의 의사소통 형태는 성원들의 자기 의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제공하고, 성원들에게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주고받는 방법을 가르치는 모델링의 수단으로 제공한다.

1) 지나친 일반화하기
지나친 일반화는 한 가지 예를 들어 전체를 설명하려 할 때 생긴다. 집단성원들은 종종 그들의 생활에 관한 사람, 장소, 때에 관한 그릇된 가설(광범위하고 부정확한 일반화)을 만든다.

2) 다른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떤 집단성원은 다른 성원에 대해 말하려 애쓴다. 예를 들면, 한 성원은 “석준이가 정말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또는 “석준이가 말하는 의미는…”하고 불쑥 끼어들기도 한다. 만일 이런 상황이 때때로 일어난다면, 여러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말하는 사람”(원래 말을 만든사람)은 적어도 “해석자”의 마음에서는 부적절한 의사소통자이다. 둘째, “해석자”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 불안을 갖게 되고 다가올 어떤 유형의 문제를 피하기를 원한다.

[hwp/pdf]집단수준의 실천기술 - 중간단계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