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
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설관리 - 린 건설에 대해서
1. 린의 원리
린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표는 프로젝트 관리 방식의 새로운 개념으로써 낭비(Waste)를 제거하는 것이다. 린 원리에서는 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Non Value adding) 모든 활동을 낭비로 규정하고 있으며, 생산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창출되는 가치가 최대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낭비를 제거해야 한다.
린의 생산 원리에서는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생산 관리 도구로 LPS(린 제조 시스템, Lean Production System)을 사용한다. 주로 제조 산업에서 사용되어진 LP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다품종 소량 생산 - 적시 생산이며 재고를 남기지 않는 원리
⋅평준화 생산 - 생산에 대한 효율과 안정적인 생산 체계
⋅흐름 생산(Flow) - 활동 중심이 아닌 흐름 중심의 체계
⋅지속/병용/소형 장비 사용 - 단품 대량 생산이 아닌 다품 소량 생산
⋅셀(cell)별 레이아웃 - 유닛 별 생산 체계의 원리
⋅풀 전략 생산 공정 - 후행 작업의 진행 속도에 따라 생산을 진행
⋅전수 검사에 의한 품질 관리 - 완벽한 품질 추구의 원리
⋅용이하고 단순한 시스템 - 누구나 적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높은 혁신율 - 완벽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 추구
이러한 LPS의 특징은 전통적인 수공예 생산 방식과 모더니즘 이후부터 나타난 소품종 대량 생산 방식의 장점을 수렴하여 그 원칙을 세운 것이다. 생산 원칙들은 이후 많은 발전과 개선이 이루어져 제조 이외의 분야에도 적용되어지고 있다.
2. 린 건설
건설 생산의 방만함을 우려한 Koskela 외 다수의 건설인들은 자동차 제조분야에서 획기적으로 성공을 거둔 린 생산방식을 건설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방안을 모색하였다. 1992년 Koskela는 「건설업에 새로운 생산방식의 적용」을 통해서 이러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hwp/pdf]건설관리 - 린 건설에 대해서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