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7차교육과정에대하여, 7차교육과정과 6차교육과정의 차이점

7차교육과정에대하여, 7차교육과정과 6차교육과정의 차이점

① 성격
-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학생중심 교육과정
- 교육청, 학부모, 교원, 학생이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

② 배경
1995년 5월에 정부는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를 통해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을 발표하여, 이른바 5.31 교육개혁을 추진하였다. 이것은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교육의 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라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였고,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육체제 수립이 관건이라는 기본 인식이 들어 있었다. 이러한 교육개혁 과정에서 열린교육체제를 지향하는 탄력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되었다.

③ 편제 : 국민공통 기본교과, 일반선택과 심화선택
즉,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④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단계, 심화·보충)
·단계형-위계가 분명하여 선행학습의 결손이 후속학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교과에 적용
분반수업 원칙
-동일내용을 심도있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 것
·심화·보충
-학생의 학습능력, 즉 이해의 깊이와 넓이에 알맞은 교육내용을 제공
-학습집단 구성원 능력의 개인차가 심각하게 작용하지 않는 교과에 주로 적용
- 보충과정은 기본과정과 학습내용은 동일하지만 단순화된 상태로 학습자에게 제공
....

[hwp/pdf]7차교육과정에대해, 7차교육과정과 6차교육과정의 차이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