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민법상 임대차의 효력에 대한 연구

임대차의 효력 연구 (민법)

1. 임대인의 권리 의무

(1) 임대인의 권리

① 차임지급청구권 ② 법정저당권(§649) ③ 법정질권(§648․§650) ④ 목적물반환청구권

관련 판례
1. 임대차계약체결시에 임대인이 일방적으로 차임을 인상할 수 있고 상대방은 이의를 할 수 없다는 약정은 강행규정인 민법 제628조에 위반하는 약정으로서 임차인에게 불리한 것이므로 민법 제652조에 의하여 효력이 없다(大判 1992. 11. 24. 92다31163․31170).
2. 임대차계약에 있어서 차임증액을 하지 않는다는 특약이 있더라도 그 특약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신의칙에 반한다고 인정될 정도의 사정변경이 있다고 보여지는 경우에는 형평의 원칙상 임대인에게 차임증액청구를 인정할 수 있다(大判 1996. 11. 12. 96다34061).

(2) 임대인의 의무

1) 목적물을 사용․수익케할 의무(§623)

① 목적물인도의무 ② 방해제거의무 ③ 수선의무

[임대인의 수선의무의 부담과 범위]
1.
[1] 목적물에 파손 또는 장해가 생긴 경우 그것이 임차인이 별 비용을 들이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고칠 수 있을 정도의 사소한 것이어서 임차인의 사용․수익을 방해할 정도의 것이 아니라면 임대인은 수선 의무를 부담하지 않지만, 그것을 수선하지 아니하면 임차인이 계약에 의하여 정해진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할 수 없는 상태로 될 정도의 것이라면 임대인은 그 수선 의무를 부담한다.
....

[hwp/pdf]민법상 임대차의 효력에 대한 연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