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미국의 석유정책과 반미카르텔

미국의 석유 정책과 반미 카르텔

1. 들어가며

석유 때문에 일어나는 갈등과 각축의 현장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나라는 바로 미국이다. 그러니 미국 이야기를 별도로 다루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은 그야말로 석유에 중독되었다는 표현이 가장 적합한 나라이다. 두 차례에 걸친 석유파동(1973~1982)을 거치며 혼이 났던 에너지 과대 소비국이다. 각종 통계수치를 보면 미국의 석유중독증이 얼마만큼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미국은 하루 2,000만 배럴을 소비하는 세계 제1의 석유소비국이다. 인구비율은 전 세계의 5퍼센트이지만, 전 세계 석유소비량의 4분의 1을 넘게 소비하는 과소비국이다. 석유자원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드는데도 소비가 줄지 않는다는 게 미국이 부닥친 구조적 고민이다.

2. 부시 행정부와 석유

“부시 행정부가 출범할 당시인 2001년 초 부시 대통령과 체니 부통령이 잡은 대외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테러나 대량살상무기가 아니었다. 가능한 한 많은 석유를 미국으로 들여오는 것이었다.” 이런 날카로운 분석을 한 사람은 미국의 에너지 안보 전문가 마이클 클레어이다.『자원전쟁들: 지구촌 분쟁의 새 지평』(2002년)과『피와 석유 : 미국의 늘어나는 수입석유 의존도가 지닌 위험들』(2004년)의 저자인 클레어는 비판적인 인터넷 매체인 ‘외교정책 초점’에 기고한 글에서 지구촌 유전지대를 점령하고자 하는 부시와 체니의 탐욕스런 갈증을 제대로 분석해 냈다.

....

[hwp/pdf]미국의 석유정책과 반미카르텔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