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저출산과 고령화

1.노인의 정의
1)노인의 개념
정의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두가지로 나눠질 수 있다. 하나는 노인의 특성에 맞추어 노인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나이를 기준으로 개념을 규정하는 것이다.
①노인의 특성에 따른 정의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생체의 조직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생체의 자체통합능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생체의 전반적인 기관․조직․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시기에 있는 사람
-생체의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생체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함으로써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즉, 노화의 일정한 연령에 이른 사람

②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정의
몇 살부터 노인으로 인정할 것인가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1889년 6월 22일 독일에서 세계최초로 제정된 ‘양로 및 퇴직 보험’과 관련된 법 조항에서 유리된 노인의 기준인 65세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분
현재의 노인
미래의 노인
생애주기의 특성
-일제강점기에 출생
-식민지시대, 전쟁 경험
-자녀수 6명
-광복 전후에 출생
-경제개발 시대의 경험
-자녀수 2~3명
개인수준의 노후대비
-거의없음
-전통적인 방식의 노후대비(가족 및 자녀에 의존)
-약간 있음
-노후에 대한 자기책임 의식이 강함
-개인연금
공적수준의 노후대책
-경로연금
-국민연금
보건복지정책의 주안점
-시혜의 대상
-공공부문의 지속적 자원필요
-단기적 정책 필요
-시혜의 대상 이미지 탈피
-민간부문의 노인산업 진흥
-중장기적 정책 필요
[현재의 노인과 미래의 노인 비교]
자료: 김한중 외.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보건복지 비전과 정책방향’, 국회보건복지 위원회, 2002

2)노령화 과정
(2)생리적 측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리적 기능 감퇴와 질병 이환의 가능서이 증가한다
①근골격계
-골흡수량이 골생성량보다 크기 때문에 뼈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칼슘분의 밀도가 낮아져 뼈가 가벼워지고 골다공증과 골절이 발생하기 쉽다

....

[hwp/pdf]저출산과 고령화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