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해방이전의근대주의의수용과정과그특색

해방 이전의 근대주의의 수용과정과 그 특색
---中․日을 통한 서구 근대지식체제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Ⅰ.문제의 제기
Ⅱ.근대주의의 형성과 中․日로의 전파
Ⅲ.한국의 지식체제와 근대주의의 수용
Ⅳ.근대주의 수용방식의 특징과 한계
Ⅴ.맺음말

Ⅰ.문제의 제기

우루과이라운드 타결 이후 WTO체제가 출범하면서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제2의 개국’ 이나 세계화에 대한 논의들이 난무하고 있다. 또한 우리와 이웃한 중국도 등소평집권이후 시작된 개혁, 개방정책이 가속화되면서 ‘제2의 양무운동기’ 또는 ‘제2의 근대주의’시기가 도래한 듯한 느낌이다. 그리고 일본은 세계의 각지역에서 지역경제 블록이 출현하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대동아공영권’적인 논리로 서구지향적인 ‘근대주의’를 벗어나 ‘再入亞적인 정책’을 통해 동북아시대의 동아시아권의 맹주로 등장하려 하고 있다.
1세기 동안 우리는 2차산업 위주의 근대화로 서구의 근대주의체제를 따라잡으려 노력하여 어느 정도 따라잡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서양은 새로운 형태의 경제체제 즉 2차산업보다는 3차산업 특히 정보산업1)1) 정보산업이란 다종다양한 정보의 생산, 수집, 가공, 유통, 전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모든 산업을 지칭하는데 廣義로는 교육, 출판, 인쇄, 신문, 방송, 통신 등 종래의 지식에 관련된 산업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산업이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인간사회의 물질적인 재화의 생산과 분배를 제외한 모든 것이 포함된다고 할수 있다.
....

[hwp/pdf]해방이전의근대주의의수용과정과그특색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