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이체자의정의

異體字의定義․分類및考釋方法에 관하여

1. 서론3.3. 字音 분석법
2. 이체자의 정의 및 분류 3.4. 字例 분석법
3. 이체자 고석 방법 3.5. 원문 대조법
3.1. 字典 이용법 4. 결론
3.2. 字形 분석법 參考文獻

〈目次〉

1. 서론

주지하다시피 이체자는 字音과字義는 동일하되 字形이 다른 글자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이체자의 명칭과 관련하여 중국에서는 역대로 重文․俗字․俗體․或體․帖體․別體 등의 다양한 용어로 지칭했었다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고,1)1) 王續洪(1999:50).
또偏類碑別字의 부록에서도 別字․別體字․異文․字體之異․僞體․譌字․謬體․繆體 등이 이체자의 개념으로 사용된 바 있다고 하여2)2) 이경원(1998:77)에서 재인용
이상의 용어들과 이체자를 무조건 동일시해 온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자음과 자의는 동일하되 자형이 다른 글자”라는 이 일반적인 정의를 적용할 경우 동일 字體 내에서 자형이 다른 이체자는 물론 한 글자의 여러 字體,즉甲骨文․金文․籒文․古文․小篆․隸書․楷書․簡體字가 모두 이체자 연구의 대상이 될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체자”라는 글자 자체의 의미만 놓고 본다면 그러한 동일시의 경향이 잘못되었다고 할수 없다. 그러나 모든 연구는 연구대상과 연구목적에 따라 통시적인 입장에서 종적으로 다룰 것인지, 아니면 공시적인 입장에서 횡적으로 다룰 것인지를 우선 명확히 밝혀야만 각각의 입장에 따라 적절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원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이체자 연구도 그러하다는 점을 생각해 볼때 위와 같은 시각으로 연구대상을 지나치게 확대시켰을 경우 과연 그 연구방법과 결론을 그대로 이체자 연구에 수용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

[hwp/pdf]이체자의정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