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학교교육의 실천과정

교육이란 “교사가 언제 어디서나 자유스런 분위기속에서 학생에게 가치로운 것을 가르쳐 자신과 사회에 이바지 하도록 하는 일” 이다.
이와 같은 정의는 교육의 본래 어원인 동양의 교육 즉,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가르치고 기르는 것이나 서양의 education, 또는 Enziehung 즉, 밖으로 소질을 끌어내어 계발하는 것보다 그 의미가 더해졌으나 그 배후의 뜻엔 크게 변함이 없다. 그러므로, 교육에 대한 수많은 접근과 정의 방식에도 불구하고 그 근본취지는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왜 이런 교육을 하는가 라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이는 우리가 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실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회에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Durkein 이나 Dewey의 글 속에는 특히 이러한 부분을 강조하는 부분이 많은데 교육 받은 또는 교육을 하는 이유가 나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다거나 사회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이 희생되어도 좋다는 게 아니라 나와 함께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교육이어야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인이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바람직한 사회를 우리는 공동사회라 부른다.
교육은 바로 이와 같은 나와 너의 공동사회 건설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Buber는 특히 인간 관계에 있어서 나와 너(I and Thou)의 관계를 강조했다. 이는 상대방이 수단적으로 보는 나와 그것(I and It)의 관계가 아니라 참다운 인격적 존재로 보는 실존적 대화적 관계이다.
교육은 이와 같이 건전한 인간 관계 속에 자신과 타인, 즉 공동사회의 발전에 공헌할 인간의 육성에 그 목적은 둔다.
....

[hwp/pdf]학교교육의 실천과정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