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역 과민성 장애의 분류

6. 면역 과민성 장애의 분류(immune hypersensitivity disorder)

각종 면역 과민성 반응은 그 작동 세포의 기전(effector mechanism)에 따라서 4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I-III 형 : 모두 특이 항체에 의해서 매개(체액 면역성 반응)
IV 형 : 감작된 T-lymphocyte의 작용으로 생김(세포-매개면역반응)
어느 형의 면역반응이건 감작을 일으킬 만큼의 항원(sensitizing dose)에 노출되어야 비로소 1차적 면역반응 시작 약 일주일이 지나서 동일한 항원(challenge dose)에 다시 노출되면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세포성 또는 체액성 면역반응으로 외인성 항원 제거시
: 염증반응, cytokines과 항체에의해 내인성 혈관활성제, 전구 염증효소물질이 유리
면역계의 활성화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조직에 손상을 주고 장기기능의 자애를 초래
염증반응으로 과민성 반응이 일어나고 임상적으로 각종 자가면역증상을 초래

1) 제 1형: 아나피락시스형 도는 즉시형 과만반응(Anaphylactic or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

항원이 비만세포와 호염기구에 붙어있는 특이 IgE 항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생김
ex) 제빵공과 동물취급자에게 생기는 알레르기성 천식, 양봉업자 및 의료종사자에게 생기 는 전신아나필락시스(latex allergy)
....

[hwp/pdf]면역 과민성 장애의 분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