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생물학적 성

생물학적 성
<주제>
오늘날 성(性)은 이른바 ‘생물학적 성(sex)'과 ’사회학적 성(gender)'으로 구분하여 논의된다. Sex와 Gender는 일치할 것이라는 막연한 사회적 통념과 달리 실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을뿐더러 사회변화에 따라 점차 그 불일치정도가 심화되는 경향도 발견된다. 인간의 사회적 행동(social action)과 관련해서도 사회적 행동을 sex의 발현이라고 보는 입장과 gender의 발현이라고 보는 입장이 다시금 팽팽히 맞서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논란의 저변에는 최근 human genome을 규명하는 등의 생명과학의 진보가 자리하고 있다. 두 가지 입장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하여 논지를 피력하라.

<답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지배하는 것이 sex의 발현이냐 gender의 발현이냐를 논할 때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본인이 주장하는 바는 생물학적 성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싶다.

선천적인 성인 생물학적 성은 인류가 시작될 때 창조주 하나님이 남자인 아담과 여자인 하와(이브)를 만드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가 아는 대로 먼저 남자인 아담을 만드신 후 “남자가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 내가 그에게 그를 도울 짝을 만들어 줄 것이다” 하시면서 하와를 지으셨다. 이 말은 가정 더 나아가 사회는 남자 혼자 또는 여자 혼자만 가지고는 완전할 수 없다는 말이 된다. 각 자가 가진 특성을 살려 자기 몫을 감당할 때 작게는 가정 크게는 사회가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창조원리를 무시하고 사회가 변하였다고 해서 Uni-sex로 가는 것은 큰 혼란을 가져올 뿐이다.

....

[hwp/pdf]생물학적 성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