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4·19 5·16 연구의 쟁점과 과제


4․19, 5․16 연구의 쟁점과 과제

 Ⅰ. 머 리 말
1960년대 초 한국사회는 4․19와 5․16이라는 일대 격변을 경험했다. 두 개의 사건은 단순한 정권교체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형성했다. 이를 역사적으로 규명하고, 자리매김하는 일은 한국 현대사를 체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1)* 서울대학교 강사.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는 내외적으로 많은 변동이 있었다. 외적으로는 이른바 미․소 양 진영의 ‘共存’이 정착됨에 따라 냉전대립이 군사적 대치에서 경제적 경쟁으로 바뀌는 전환기였다. 또한 대부분의 식민지들이 50년대 말까지 독립을 완료하여 제3세계 민족주의가 새로운 차원에서 고양되는 시점이었다. 내적으로는 한국전쟁의 피해가 복구되고, 분단체제가 고착화 내지 안정화됨에 따라 남북한 모두가 본격적인 체제정비와 발전을 모색하는 시기였다. 4․19와 5․16은 순차적으로 일어나기는 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한국사회의 갈등구조를 표출하고 있었고, 이것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4․19가 민주화․자주화 같은 시민운동과 민중운동 세력의 역사적 지향성을 대변한다면, 5․16은 이른바 ‘조국 근대화론’으로 대표되는 보수집단의 역사적 지향성을 대변하고 있다. 따라서 양 사건에 대한 평가는 부득이하게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갈등구조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
....

[hwp/pdf]4·19 5·16 연구의 쟁점과 과제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