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


제 12 편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Ⅰ)
☞ 제 3 장, 제 4장 요약

제 12 편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Ⅰ)

제 3 장 이황의 철학사상

* 퇴계 이황
① 일생은 문과 관직생활이 병행
② 철학은 대승과의 사칠론
③ 윤리는 경의 실천으로 극치를 이룸

그의 생애와 저서

1) 생애
① 경북 안동군 도산면 온계리 진성이씨 식의 7남 1녀 중의 막내아들로 태어남 (연산군 7년 (1501) 11월 25일)
② 6 살 때 마을의 노인에게 천자문1)1) 년보 병인조
, 12 살 떄 숙부 송재공 식에게서 「논어」를 익힘 - 그가 “모든 일의 옳은 것이 이입니까” 라고 재공에게 묻자 “네가 벌써 글의 본뜻을 이해하는 구 나”2)2) 년보 임신조
하고 기뻐하였다는 일화가 전함
③ 18 살 때 지은 시 - 연어일원의 경계가 담겨짐3)3) “로초요요요수애, 소당청활정무사, 운비조과원상관, 지파시시연축파...”(년보 무인조)

④ 19 살 떄 지은 칠율 1수 - 태허를 간파한 슬기4)4) “독애림려권서, 일반심사십년여, 이래사여원두회, 도파오심간태허...” (년보 기묘조)

⑤ 21 살 때 태학에 시유
⑥ 27 살 때 경상도 향시 수석합격, 33 살 때 경상도 향거에서 제 1 위 차지하여 승문원부정]자 로 관직생활 시작
⑦ 관사 이후로는 학문의 진수가 잠시 모호, 사화로 인한 격동하는 분위기 속에서 벼슬보다 학 문의 길로 전향하여 관직의 사퇴가 빈번함
⑧ 54 살 되던 갑인년 3월 17일의 일기에 학문으로 종신할 결심이 기록
⑨ 기대승의 반론을 받을떄까지
㉠ 「주자서절요」를 완성 - 「주자대전」 독파
㉡ 「계몽전의」와 「송이원명이학통록」 저술 - 송학에 대한 이론체계를 굳혀나가는 시기
⑩ 58살 때 치사할 것을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음, 병사에도 불구하고 성균관대사성, 상호 군, 가선대부공조참판등으로 승진, 제서
....

[hwp/pdf]조선 중기의 성리학설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