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광고와 사회적 합리주의

광고와 사회적 합리주의

<테크놀로지의 대변자>
◎광고: 현대 사회에서 생산성의 모습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
-상품의 정보를 확산시키고, 상품을 판매하며, 일상적 삶에서 상품의 필요성을 설득
-변화를 촉진
*테크놀로지: 서구 문화의 원천
앞서 살았던 세대보다 지금의 현세대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
단순한 기계의 발명이 아님. 시장과의 연결이 모색되어 전국적으로 제도화.
-광고의 역할: 테크놀로지와 시장을 매개
-광고가 불만과 연관된 이유: 불만요인이 가장 많은 공적 영역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표출하 기 때문
광고의 일반적인 전략: 어떤 제품을 사람들의 경험과 연관시키는 방법
<테크놀로지와 좋은 생활>
-근원적 측면에서 광고에 대한 비판은 산업생활의 성격에 대한 것.
-광고란 초보적 경제체제에서는 변화의 상징 내지는 현대적 생활로의 진입이라는 생산성을 표출.
◎갈브레이스:광고에 대한 부용성에 관심.
-수요는 보다 많은 이윤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유도: 광고는 불필요한 생산을 부추김으로써 사회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
*‘풍요한 사회’
“좋은 사회”를 묘사-욕망이 인위적이지 않은 사회, 덜 소비되는 사회, 이타적인 사회, 욕 망의 창조로부터 자유로운 사회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을 자유주의적인 합리주의에 의존
If]정말로 광고가 수요를 창출해 낼 수 있다고 한다면, 대중광고를 위한 TV광고가 아닌 다 른 형식의 광고에 의해서도 수요가 창출되어야 할 것.
*‘신산업국가’
광고는 가치 이상의 것을 손상시킨다.
여가보다는 상품을, 환경에 대한 권리보다는 생산성을, 기술적인 변화에 대하여 적절치 못한 헌신을 선호하도록 촉구한다.
....

[hwp/pdf]광고와 사회적 합리주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