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주의사회에서의 생산비와 가격, 기업이윤입니다.

사회주의사회에서의 생산비와 가격, 기업이윤


제 1절. 생산비

1.생산비의 본질

어느 사회에서든지 물적 부의 생산과정은 사람들의 합목적적인 활동, 즉 노동과 물적 자원(노동대상과 노동수당)의 지출을 함축한다. 자연적 형태로 존재하는 생산수단의 물적 기초를 도외시한다면, 생산과정은 노동의 지출로 귀착된다. 이러한 지출이 생산비이며, 생산수단 내에 체화되어 있는 과거 노동과 일정한 생산물을 만드는 데 소비된 산 노동의 지출로 존재한다. 상품-화폐관계가 존재하는 경유, 사회적 생산 비용은 가치형태를 취한다. 집계적 형태로서는 생산물가치이다.
생산비의 경제적 특성은 각각의 사회경제 구성체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
어, 자본주의 하에서 그것은 자본에 의한 임노동의 착취관계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하에서는 사회주의적 생산관계를 표현하며 자본주의 하에서와
같이 경쟁과정중에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의 객관
적 경제법칙의 필요에 상응하며 미리 설정된 계획에 기초한다.
자본주의 하에서 생산비의 인하는 법칙적으로 노동자의 위치의 악화와
자본가의 부의 증대를 수반한다. 그러나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가 존재
하지 않는) 사회주의 하에서 생산비의 절감은 사회적 부를 증대시키고 인
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사회주의사회에서 근로인민은 생
산에 필요한 기업의 경비를 줄이는 데 관심을 갖는다.
제9장에서 설명한 바대로, 각각의 사회주의 기업은 그 재량권 하에 있
는 생산자산을 가지며, 그것은 회전되고 유통된다. 그 과정중에, 생산물
가치의 어떤 부분은 분리되어 사회주의 기업의 비용을 표현하는 원가
(Prime cost)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비용은 체화된 과거 노동 그리고
투입된 산 노동의 일부분을 화폐형태로 나타난다. 체화된 노동의 지출은
소비된 생산수단의 가격으로, 투입된 산 노동의 일부분은 소득으로 표현
된다.U 투입된 산 노동의 을른 부분은 기업이 얻은 순수입(net income)
및 국가로 중앙 집중된 순수입으로 나타나며, 원가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원가와 함께 사회적 생산비용을 형성한다.

[hwp/pdf]사회주의사회에서의 생산비와 가격, 기업이윤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