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국제경제법(긴급수입제한조치 safeguards)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s)

Ⅰ.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s)의 槪要

1. 背景

GATT체제 내외에서 국제무역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해 온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s)에 관한 논의는 제2차세계대전 직후 GATT창설 당시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59년 11월에는 GATT 제16차 총회에서 일부 품목의 단기간 내 수입급증으로 인한 피해 문제가 거론됨에 따라 1960년 GATT 제17차 총회에서 GATT 제19조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세이프가드 발동요건에 합의한 바도 있다.
그러나 세이프가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동경라운드에서라고 할 수 있는데, 세이프가드의 선별적용(selectivity)과 최혜국대우 준수문제 등에 관하여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1979년 4월 동경라운드협상 일괄타결시 협상에서 제외되었다.
80년대 들어 세계경제가 침체를 거듭함에 따라 미국EC 등 선진국들은 발동요건이 엄격한 GATT가 제19조의 긴급수입제한조치를 회피하는 수단으로서 수출자율규제(VER) 또는 시장질서 유지협정(OMA) 등 회색지대조치(Grey Area Measures)라고 불리는 선별적 수입제한조치를 빈번히 이용하게 됨에 따라 동 조치의 대상이 되는 개도국들의 큰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UR협상에서는 세이프가드를 UR 15개 협상의제 중의 하나로 선정하였으며, 포괄적인 다지간 협정을 제정하게 된 것이다1)1) 세이프가드 규정을 구체적으로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규범 혹은 협정으로는 GATT 외에도 미캐나다 FTA(1101조 및 1102조), 다자간 섬유협정, 로마조약(36, 108-109, 225조), EFTA 설립협정(19조), OECD 경상무역외거래 자유화규약(7조), NAFTA(801-805조) 등을 들 수 있음.
.

2. 槪念 및 意義

....

[hwp/pdf]국제경제법(긴급수입제한조치 safeguards)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