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과 ‘홍길동전(洪吉童傳)’
리포트 > 인문/어학
허균과 ‘홍길동전(洪吉童傳)’
한글
2012.03.09
6페이지
1. 허균과 ‘홍길동전.hwp
2. 허균과 ‘홍길동전.pdf
허균과 ‘홍길동전(洪吉童傳)’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 론
2. 영웅소설로서의 ‘ 홍길동전’
2. 1 허균의 사상과 ‘ 홍길동전’ 의 관계
2.1.1 ‘유재론’과 <홍길동전>
2.1.2 ‘호민론‘과 <홍길동전>
2.1.3 허균과 ‘율도국’
2. 2 영웅소설로서의 유형적 특징과 서사 구조
2. 2. 1 영웅소설의 형성과 전개 과정
2. 2. 2 영웅의 일생과 <홍길동전>
3. 문학사적 의의
4. 문학 교육적 활용 방안
5. 결론
♧ 참고문헌
1. 서 론

17세기 광해군 대에 창작된 <홍길동전>은 명칭 상으로 한문학의 한 갈래인 ‘전(傳)’의 뿌리에서 나온 것 같지만, 현재 전하는 모습으로 봤을 때 신화?무가를 거쳐온 ‘영웅의 일생’ 이라는 서사 전통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전기 소설적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부분에 불과하며, 작품 속에 나오는 강한 사회성(현실성)을 감안했을 때 <홍길동전>은 상층 문인이나 외래적 요소보다는 16세기 민족 현실 속에서 존재했던 농민 항쟁의 정신적 산물로 여겨야 할 것이며, 민중들에게서 시작된 아래로부터의 문학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조선 후기 소설을 대표하는 <홍길동전>은 봉건 사회의 모순을 다룬 보기 드문 소설이어서 ‘사회소설’로 불리기도 하며, 영웅의 일생을 다룬 소설이어서 ‘영웅소설’로도 불리운다. 본고에서는 <홍길동전>과 관련한 허균의 사상, 영웅 일생의 서사구조, 문학적 의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영웅소설로서의 ‘ 홍길동전’

2. 1 허균의 사상과 ‘ 홍길동전’ 의 관계
허균이 살던 시대(1569~1618)와 200년 이상의 차이가 있는 이본들, 처첩을 거느리고 불교를 가까이 했던 허균의 삶과 <홍길동전>의 내용 사이의 거리, 허균의 처형시 이 작품의 창작에 관계된 죄목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작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허균의 사상과 연계해 볼 때, 우리는 <홍길동전>이 허균의 작품임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허균이 반역을 꾀하는 무리와 함께 <수호전(水滸傳)>을 애독하고, 거기 나오는 두령 이름으로 서로 별명을 삼으면서
허균, 홍길동전, 고전소설, 영웅소설, 국문학
교육인적 자원부, 중학교 1학년 국어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 2001
김진영, 「허균의 인물관과 소설」,『고전소설 연구의 방향』,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85
박일용, 「<홍길동전>의 문학적 의미 재론」, 『고전문학연구』,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4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의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설중환,「洪吉童傳」으로 본 韓國의 英雄像, 『한국학연구12』, 2000
이강옥, 「홍길동전의 제문제와 해결」, 『한국고전 소설론』, 새문사, 1990
이문규, 『허균산문문학연구』,1986, 삼지원
정상균, 「<홍길동전> 연구」,『論文集』 서울시립대,1996
조동일,「영웅의 일생과 홍길동전」, 『허균의 문학과 혁신사상』, 새문사, 198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 산업사, 1994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홍길동전 연구: 허균의 사상이 홍길동전과 후세.. 신분차별 없는 행복한 세상을 꿈꾸다 홍길동전..
홍길동전의 기본적 이해 [고전작가론]김만중
고전소설 홍길동전
조위한의 애정소설<최척전(崔陟傳)> 연구 [국문학] 허균의 생애와 작품, 사상 분석
홍길동전 홍길동전에 대하여
홍길동전의논리와의미 낙원소설로서의_홍길동전
홍길동전의 작품론적 접근 [국문학] 홍길동전(洪吉童傳) 작품 분석
 
[인문어학] ‘조선시대 유학자..
홍길동전 연구: 허균의 사상이..
(독후감) 통섭의식탁(최재천)
리포트잘쓰는법[1]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 구조..
순수문학 이론 논쟁-인간성 옹..
예술의_본질에_대한_시대적_고찰
제갈량병법